2022년 07월 13일 수요일, [A.D] 에조 도롱뇽
이름 : 에조 도롱뇽
영명 : Ezo Salamander
일명 : エゾサンショウウオ
학명 : Hynobius retardatus
속 : Caudata Cryptobranchoidea Hynobiidae Hynobius
몸길이 : 140-190mm
원산지 및 서식지 : 일본 훗카이도(북해도, 北海道) 전역(단, 북해도 인근 도서지역 제외)
에조 도롱뇽은 일본 최북단 섬인 북해도의 전역에 서식하고 있는 지수성의 도롱뇽으로 평지에서부터 고지대까지 매우 넓게 분포하고 있다. 번식기는 지형상 비교적 늦은 4월~7월이며 작은 연못이나 늪, 물웅덩이, 호수나 저수지의 물가 주변에서 나선형의 길고 부드러운 알주머니를 산란한다. 이 때, 수컷은 머리 옆부분이 부풀기 시작하고 꼬리도 납작해진다. 에조 도롱뇽은 일본원산의 도롱뇽 가운데 유일하게 유형 성숙이 확인 되었지만, 최근에는 유형성숙의 개체가 발견되지 않고 있다. 또한 산란후 부화된 유생은 헤엄치는 능력이 강하며, 색도 다소 검은 편이다. 또한 유생 때에는 지수성 양서류의 특징인 평형기(平衡器)가 발달되어 있다.
참고로 일본 북해도에는 단 2종의 도롱뇽만 서식하는데, 하나는 위에서 설명하는 에조도롱뇽이고, 다른 하나는 북해도의 쿠시로습원(천로습원, 釧路湿原)에만 서식하는 네발가락 도롱뇽(Salamandrella keyserlingii, 일본에서는 북도롱뇽(キタサンショウウオ)이라고 한다.)이다.
[글쓴이의 잡담]
에조 도롱뇽도 그동안 국내에는 수입된 적이 없던 도롱뇽으로 2022년에 처음으로 국내에 수입이 된 종류인데, 성체가 아닌 2021~2022 JPCB로 수입되었기 때문에 국내에서 유생을 보기까지는 몇년은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에조 도롱뇽도 쿠로 도롱뇽과 비슷하게 대형으로 성장하는 종임으로 사육하는 재미가 있을 것이다.
TIP 팁!
본인이
이라고 쓴 이유?
일본어의 ゾ(ぞ)와 じょ(ジョ)는 한국어로 쓰면 "조"라고 발음한다. 하지만 정확하게 들어간다면 두 글자 모두 동일한 발음이 아니다. じょ(ジョ)은 현대 한국어의 "조"와 발음이 거의 같고 ゾ(ぞ)는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 오래된 한글 자음중 하나인 반치음"
" 의 발음과 가장 가깝다. 영어로 보아도 じょ(ジョ)는 "Jo"라고 쓰지만, ゾ(ぞ)은 "Zo"라고 쓴다.
그것은 그 발음에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현재 사용하지 않는 반치음"
" 도 영어의 "Zo"와 비슷한 발음이다. 이에 에조 도롱뇽이란 말과
이란 말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다.
에조(蝦夷,하이)란?
에조라는 말은 일본인이 일본의 동북(토호쿠)지역 및 북해도지역에 살던 아이누인과 같은 타민족집단을 일컫는 말이다. 과거에는 에미시, 에비스라고도 불려왔으며, 근세에 와서는 에조라고 불렀다. 에조라는 말로 도깨비처럼생긴 오랑캐라는 뜻으로 일본 북부 및 북해도에 살던 아이누민족을 지칭한 것으로 보인다.
유형성숙(幼形成熟)이란?
도롱뇽의 유형성숙(네오테니)이란 도롱뇽의 성장이 유형(유생의 모습)에서 멈추고 생식 능력만 성숙하여 번식하는 현상을 말한다. 즉 모습이 아가미가 있는 유생의 모습인 성체라는 말이다. 현재 유형성숙의 대표적인 예로는 멕시코도롱뇽이 있는데, 이 도롱뇽은 원산지에서 악솔로틀(우파루파)이라는 유생형으로 성숙한다. 학계에서는 유형성숙이 갑상선호르몬의 부족으로 일어나는 현상으로 보고 있다.
습원(濕原)이란?
습원은 초원지역의 흙에 물이 잘 스며들지 않아서 생기는 습지형의 초원인데, 간단하게 말하면 습기가 많은 초원을 말한다.
번식기의 에조 도롱뇽의 수컷(얼굴을 포함한 온몸이 부풀어 있다.)
육지로 상륙직전의 대형의 월동 유생(60~70mm)
유생 기간이 길고 꽤 성장해 있었음으로 유형성숙의 개체일 수도 있는 개체이다.
에조 도롱뇽의 알주머니(알주머니가 매우 부드럽고 주름이 많다.)
현재 본인이 사육하고 있는 에조도롱뇽의 베이비
< Data : KLPA and びっきぃ と やまどじょう>
< Origin of Photo : 生き物研究室 and KLPA >
일부 사진(Photo)은 KLPA(Mr. Lee)에서 びっきぃ と やまどじょう(Mr. Kwamura), 生き物研究室(Mr. Gecko)에 사용 허가를 받고 사용하기 때문에 무단으로 도용할 시에는 저작권법에 의거하여 법적인 제재를 가합니다.
'♣ My Dictionary ♣ > Amphibia D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07월 14일 목요일, [A.D] 쿠로 도롱뇽(일본 흑도롱뇽) (0) | 2022.07.14 |
---|---|
2022년 07월 13일 수요일, [A.D] 토호쿠 도롱뇽 (0) | 2022.07.13 |
2022년 07월 13일 수요일, [A.D] 일본 장수도롱뇽 (0) | 2022.07.13 |